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개념

변수

by NANDEV 2022. 11. 3.

변수

변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을 참조라고 한다.

 

변수 선언

변수 선언이란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변수 이름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연결해서 값을 저장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한다. ES6에서 let과 const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var이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유일한 키워드였지만 var은 여러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let과 const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var color;
let name;
const age;

// 쉼표를 이용해 하나의 문에서 여러 개를 한번에 선언할 수 있지만 가독성이 나쁘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let color, name, age;

//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모두 다른 변수다.
let color;
let Color;
let ColOr;

변수 선언에 의해 확보된 메모리 공간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undefined라는 값이 암묵적으로 할당되어 초기화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변수 선언을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 두 단계에 걸쳐 수행한다.

 

변수 선언의 실행 시점과 변수 호이스팅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소스코드의 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소스코드를 실행할 준비를 한다. 이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모든 선언문을 소스코드에서 찾아내 먼저 실행한다. 이처럼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호이스팅이라 한다.

 

값의 할당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할당 연산자(=)를 사용한다.

// 변수 선언
let number;

// 값을 할당
number = 1;

//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
let number = 1;

 

값의 재할당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메모리에 있는 값을 지우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에 재할당 값을 저장한다. 어떠한 식별자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값은 가비지 콜렉터에 의해 메모리에서 자동 해제된다. 하지만 메모리에서 언제 해제될지는 알 수 없다.

 

변수 사용시 주의할 점

  • 변수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들어 관리한다.
  • 전역 변수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다.
  • 변수보다는 상수를 사용해 값의 변경을 억제한다.
  • 변수 이름은 변수의 목적이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이밍한다. 모든 식별자는 존재 이유를 파악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지어야한다.
반응형

'Javascript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s  (0) 2022.11.16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0) 2022.11.16
데이터 타입  (0) 2022.11.07
식별자  (0) 2022.11.01
자바스크립트란?  (0) 2022.10.31

댓글